최근 몇년동안 수도 울란바타르는 인구와 인프라 밀도가 증가했으며, 몇 차례의 강진이 발생했다는 것이 전문 단체들의 설명이다. 몽골에서는 2021년에 159,396건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규모 3.5이상의 지진이 430회 발생하였으며, 이 중 규모 6의 지진이 6회 발생하였다.
'지진재해 통신 대비태새'를 조사한 결과 최소 47.8%의 건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4만에서 6만명이 수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6.6 ~ 7.6의 지진에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으로 공공 및 민간 파트너쉽이 정보통신을 활용하여 재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전자개발통신부, 재난관리청, 유니세프, 세계식량계획/재난 커뮤니케이션 클러스트 등은 오늘과 내일 이틀간 '지진재해통신대비'교육을 마련했다.
이 이틀간의 훈련의 결과로
- 지진 재해로 인한 몽골의 통신 분야 위험성 파악
- 지진재해 발생 시 통신 분야 대비책으 일환으로 취해야 할 조치가 파악된다.
- 주퇴측에 따르면 지진재해 발생 시 통신분야 피해 평가를 위한 주요 요건이 결정된다.
몽골은 중앙아시아의 지진 활동 지역에 있다. 20세기 들어 규모 8.0의 지진이 4차례, 규모 7.0의 지진이 20여 차례 발생했지만, 인구가 적고 인구 거주 건물 분포가 희박하여 건설과 인프라가 열악해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건설 및 인프라 교육 전문가들은 말했다
출처 : 몽골한인신문(원문출처 gogo.mn 2022.04.13)
'뉴스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정부, 관광에 100억, 농업에 4,000억 투그릭의 차관 지원 (0) | 2022.05.03 |
---|---|
몽골에 투자하러 온 외국인은 1,576명, 일하러 온 사람은 5,829명, 이주 온 사람은 1,885명 (0) | 2022.05.03 |
2022년도 1분기 몽골을 방문한 외국인의 35.6%가 러시아 국적자 (0) | 2022.05.03 |
2022년 4월 30일부터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에서 러시아 이르크추크까지 열차 운행 개시 (0) | 2022.05.03 |
하나투어, 여름 이색 여행지로 몽골 추천 (0) |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