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년

성경에 나타난 히브리어 숫자 "7"과 그 의미 성경에서 "7"이라는 숫자는 매우 자주 등장하는 수(Number) 이기도 합니다. '토라포션(브래드북)'에서 언급한 몇가지 예를 제시해보자면... 1. 토라는 일곱 단어로 시작합니다.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 에트 하샤마임 베에트 하아레츠" 즉 창세기 1장 1절의 말씀입니다. 2. 하나님은 창조를 시작하시고 일곱째 날에 안식(샤밧)하셨다 3. 하나님은 한 주 동안(칠일)에 안식을 위한 하루로 안식(샤밧)을 명하셨다 4. 쉬밭 하미님이라고 하는 축복된 땅에서 나는 일곱가지 소산물이 있다. 밀, 보리, 포도, 무화과, 석류, 올리브, 그리고 꿀(이 본문에서 꿀은 대추야자의 열매를 말한다) 등이 있다(신8:8) 5. 유대력에는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오순절, 나팔절, 대속죄일, 그리고 초막절 등의 일곱가지 .. 더보기
하프타라 예레미야 32장 6절에서 27절의 의미 - 하나님은 왜 환란의 때에 예레미야에게 부동산 매매를 명령하셨을까? '베하르'에대한 하프타라는 예레미야 32장 본문을 배경으로 합니다. 예레미야서의 전반부(2-25장)는 이스라엘 백성의 심판의 의미와 결과를 예언적으로 전하는 말씀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런 반면에 26장에서 29장까지에는 예레미야의 멸망에대한 예언에 대해서 완전히 반대되는 예언인 예루살렘은 결코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언을 하는 거짓 예언자들을 경계할 것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결국 29장까지의 공통점은 그 내용이 매우 절망적이고 부정적인 사실이 이스라엘의 멸망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30-33장에서는 예레미야가 이런 부정적인 예언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 이스라엘의 회복에 초점을 맞춘 예언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이 담긴 배경은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가 왕이 되고 난 후 10년.. 더보기
금주의 토라포션(05/15~05/21) '베하르'(산에서) / 희년(요벨) 묵상 레위기 25잘 8절 ~ 55절 8-9“너희는 7년마다 돌아오는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난 해, 곧 49년이 지난 다음 속죄일인 7월 10일에 전국적으로 나팔을 크게 불어라. 10너희는 50년째가 되는 해를 거룩한 해로 정하고 너희 땅에 사는 모든 백성에게 자유를 선포하라. 이 해는 너희가 지켜야 할 희년이다. 그러므로 만일 너희가 남의 재산을 산 것이 있으면 본 주인이나 그 후손에게 도로 돌려 주어야 하며 종으로 팔려온 자도 자기 가족에게 도로 돌려보내야 한다. 11“50년마다 돌아오는 희년에는 파종도 하지 말고 저절로 난 것을 추수하지도 말며 손질하지 않은 포도송이를 거둬들이지도 말아라. 12희년은 너희에게 거룩한 해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미리 비축해 둔 밭의 농산물만 먹어야 한다. 13“희년이 되면 너희.. 더보기